반응형

IaaS, PaaS, SaaS 비교 분석
클라우드 컴퓨팅은 기업과 개인이 물리적 인프라를 직접 구매하지 않고도 IT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. 이러한 클라우드 서비스는 제공 방식에 따라 IaaS, PaaS, SaaS로 구분됩니다.
반응형
IaaS (Infrastructure as a Service)
IaaS는 가상화된 컴퓨팅 자원(서버, 스토리지, 네트워크 등)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. 사용자는 필요한 인프라를 클라우드에서 빌려 쓰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.
특징
- 필요한 만큼의 컴퓨팅 자원을 유연하게 조절 가능
- 물리적인 장비 구매 없이 서버 운영 가능
- 사용량 기반 과금 (Pay-as-you-go)
대표 서비스
- AWS EC2
- Google Compute Engine
- Microsoft Azure Virtual Machines
PaaS (Platform as a Service)
PaaS는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. 인프라뿐만 아니라 개발 도구와 환경을 포함합니다.
특징
- 서버, 운영체제, 미들웨어, 개발 도구 등이 포함된 플랫폼 제공
- 개발자가 인프라 관리 없이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집중 가능
- 자동화된 확장성 지원
대표 서비스
- Google App Engine
- AWS Elastic Beanstalk
- Microsoft Azure App Services
SaaS (Software as a Service)
SaaS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의미합니다. 사용자는 별도의 설치 없이 인터넷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특징
- 소프트웨어 설치 없이 웹 기반으로 서비스 제공
- 유지보수 및 업데이트를 공급자가 관리
-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접속 가능
대표 서비스
- Google Workspace (Gmail, Docs, Sheets 등)
- Microsoft 365
- Salesforce
IaaS, PaaS, SaaS 비교
구분 | IaaS | PaaS | SaaS |
---|---|---|---|
제공 범위 | 서버, 스토리지, 네트워크 등 인프라 | 개발 및 배포를 위한 플랫폼 | 최종 사용자용 소프트웨어 |
사용자 | 시스템 관리자, 네트워크 엔지니어 | 개발자 | 일반 사용자 |
유지보수 | 사용자가 직접 관리 | 플랫폼 제공자가 관리 | 공급자가 전체 관리 |
확장성 | 높음 (유연한 리소스 조정 가능) | 보통 (서비스 기반 확장) | 낮음 (사용자가 직접 확장 불가) |
결론
IaaS, PaaS, SaaS는 각각 목적과 사용자가 다르며, 기업 환경에 따라 적절한 선택이 필요합니다.
- IaaS: 인프라 구축이 필요한 기업
- PaaS: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집중하고 싶은 기업
- SaaS: 즉시 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원하는 기업 및 개인
클라우드 서비스는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, 기업들은 비즈니스 요구에 맞춰 적절한 모델을 선택하여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.
반응형
'IT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KMS vs 온프레미스 DB 암호화 솔루션 (0) | 2025.02.19 |
---|---|
ISMS-P 인증 완벽 가이드 (0) | 2025.02.19 |
Windows 11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문제 해결 방법 (0) | 2025.02.18 |
Spring Boot 란? (0) | 2025.02.07 |
Python 란? (0) | 2025.02.07 |